|
| 
| 신생견의 바이러스 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고항혈장 요법 |
| Homopet(동물혈액은행)의 수의사 교육 저널 중 DVM Magazine 1993, 4월호 |
| 치료단신 ) 신생견에 치명적 Herpes virus 감염 개의 치료(Handbook of small animal practice) |
Herpes virus는 DNA virus로 정상적인 성견에 상재(30%)해 있으며, 출산시 질 점막 접촉, 보통정상견의 접촉으로도 흔히 전파되며, 조기 예방 치료가 없으면 48시간 내에 100% 사망합니다.
|
감염경로(강아지)
| 1. 태반감염 : 사산, 약한 새끼 출산 |
| 2. 구강 및 호흡기 경로 감염 : 감염 견 접촉(성견은 무증상)으로 tonsil에서 바이러스 증폭하며, 특히 저체온증 신생견, 면역을 획득하지 못한 신생견에서 여러부위의 출혈과 괴사 유발 |
|
임상증상
| 1. 태아기 : 사산이나 동배 중 약한 새끼로 태어남
* 동배 새끼 중 사산견이 있으면 허피스감염을 의심해 보세요. |
2. 1-3주령
| 1. 젖을 잘 먹으려 안함
2. 복부의 통증이 있으며, 대표적 임상 증상으로 밤새 움
3. 콧물(점액성, 출혈성), 장기의 점막출혈(신장, 그림)
4. 저체온증이 있으며, 간질, 발작을 일으킴
5. 임상증상이 나타나면 24-48시간내에 죽거나 회복된 신생견은 운동실조, 시력실조 등의 영구적 증상을 나타냄
|
 |
|
|
치료
| 1. 증상 나타나고 48시간 내에 죽기 때문에 일반 치료 효과 얻기 곤란(폐사율 거의 100%) |
| 2. 고항혈장 : 2ml/100g 주사(복강) |
| 3. 체온 유지(저체온증 견) |
|
|
| 예방단신 ) 건강한 자견 생산 방법 (제왕절개시 특히) |
새끼가 태어나면 (고항혈장 투여 방법)
1차 접종 : 고항혈장 3ml/100g 복강 주사
2차 접종 : 10일-14일 사이 추가 접종(2ml/kg, 복강)
3차 접종 : 3주-4주 사이에 3차 접종(2ml/kg, 복강)
생후 6주 후 백신 protocol 적용
|
참고) Dr. stockner 보고 논문 : 개체당 1ml 씩 2시간마다 24시간까지 구강 투여했을 때 강아지 병에 걸릴 확률 매우 저하됨 보고
|
| 필수적으로 투여해야 하는 상황
|
1. 어미젖을 48시간 내에 충분히 공급받지 못했을 때
2. 동배 새끼 중 특히 약한 새끼
3. 병원의 병원성 바이러스 노출이 의심될 때(특히 허피스바이러스, 파보, 홍역)
* 방법은 예방단신의 방법에 따라 1차, 2차, 3차 접종(고항혈장)
|
|
|